간호사 이야기/소소한 간호 지식

소소한 간호지식 - 소화기계 (위루술, 위수술 후 간호, 장루술, 중심정맥영양법)

김꾸물이 2024. 3. 19. 13:00
반응형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알아두면 유용한 소소한 간호 지식에 대해 공유해보고자 합니다!

위장관외과 실습시, 혹은 소화기계 학습하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고자 포스팅을 올립니다.

 

제가 적은 자료는 모두 

제 7판 성인간호학 상권 황옥남외, 현문사

 

를 읽고 정리를 해보았습니다. 참고해주시길 바랍니다!

 

< 위루술이란? >

▶ 음식물과 수분을 주입할 목적으로 위에 구멍을 만드는 수술

▶ 적응증 : 노인, 허약한 대상자 등 위루를 통해 장기간 영양이 필요한 대상자

▶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위루술 : stamm, Janeway,

                               percutaneous endoscopic gastrostomy

 

< 위루술의 영양 공급 [2] >

▶ 수술 후 바로 관을 통해 영양 공급

▶ 처음에는 물과 10% 포도당으로 사용

▶ 1회 30~60mL주입, 점차 양을 늘림, 수술 2일째 영양주입으로 인한 증상 없고

   관 주위 누출 없다면 1회 180~240mL를 주입함

 

< ★★★ 위루술 간호 ★★★ [3] >

 

① 관 간호와 감염 관리 : 관은 좁은 반창고로 감은 후 복부에 잘 부착함

                        식사 후 새지 않도록 hemastat를 사용해 관을 막음

                        튜브 입구 주위를 드레싱, 관을 둥글게 하고

                        몽고메리띠나 복대로 고정함, 드레싱은 2~3일마다 교환

                        (드레싱 교환 스스로 할 수 있게 교육함)

 

② 피부 간호 : 관 주위 피부를 물과 비누로 매일 닦고 zinc oxide나 바셀린 같은

              연고를 발라 보호함. 장기간 위루술인 경우 피부통합성 유지를 위해

              누용낭을 붙임

 

③ 신체상에 대한 적응 : 위루술의 목적과 식사방법에 대해 상의하고 가족 지지함

 

④ 대상자 교육

- 위 내용물 확인 : 식이 주입하기 전 물을 주입해 관이 막히지 않았는지 확인

- 청결 교육 : 관에 음식찌꺼기가 남지 않도록 청결하게 하는 방법을 교육

- 주사기 주입 방법 : 깔때기나 주사기를 이용해 카테터에 액체 주입하는 것임

                    처음 액체를 주입할 때 공기가 빠져나가도록 용기를 기울임

                    식사때마다 250~500mL를 10~15분 동안 주입함

- 식사 후 : 침상머리를 30분동안 올리는 것이 소화에 도움 & 흡인 예방

           식사후나 약물주입 후에 항상 30mL정도의 물로 관을 씻어 막힘 예방

- 식사 전 : 관으로 음식 주입하기 전 냄새맡기, 맛보기 등을 통해 침샘과 위액분비 자극

 

 

<위수술 후 간호>

① 호흡기 간호

- 절개부위의 통증 때문에 얕은 호흡을 함

- 진통제를 규칙적으로 투여한 후 호흡운동을 권장하여 폐환기를 촉진시킴

- 반앉은자세가 흉곽의 팽창에 도움이 된다. 가능하면 보행을 권장함

 

② 위배액

- 수술후 코위관의 배액은 처음 6~12시간 동안 혈액성

- 선홍색이거나 많은 양의 혈액이 배액될 때는 즉시 보고

- 코위관의 배액이 중단된 경우에도 가스나 액체의 축적이 봉합선에 압력을 가해 봉합선 파열, 파손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즉시 의사에게 알림

- 부주위로 봉합부위가 파열되지 않도록 코위관을 고정

 

③ 음식과 수액 공급

- 연동 운동이 회복되기 전까지 코위관 삽입으로 구강 섭취가 제한되므로 자주 구강 간 호를 시행, 관을 제거하고 음료를 마실 수 있을 때까지 수액을 정맥으로 투여

- 매일 평균 3500ml의 수액을 정맥으로 투여, 위 배액량과 소변 배설량을 정확하게 측 정, 코위관 제거 후 약 12에서 24시간 동안 소량의 수분을 섭취시키면서 호흡 곤란 통증 체온 상승 같은 노출 증상을 관찰

- 더 천천히 먹도록 하고 음식의 양을 일시적으로 줄임

- 전체 위 절제술을 받은 경우 흉부 접근 수술 방법을 사용하므로 흉부 수술 간호가 필 요. 배액관는 문합부에 삽입하고 이를 통해 장액혈액의 액체가 배출이 됨

- 분비액이 모이는 저장소가 없고 위정막도 없기 때문에 코위관 배액은 거의 없음

- 전체 위절제 수의 경우 정상 식사가 어렵고 소화가 불완전하여 장흡수가 저하되므로 영양 유지가 어려움

- 빈혈이 오기 때문에 황산철 엽산 및 비타민 b12을 자주 투여.

- 코위관이나 위루관을 통해 지속적 경관영양 주입을 할 때 공급 펌프를 이용해서 지속 적으로 일정하게 공급

 

④ 안위제공 및 교육

- 수술 후 처음. 며칠 동안 마약성 진통제를 투여

- 구강 간호를 제공하여 편안하게 한다 또한 예상되는 불편감을 미리 알려주고

  대처 방법을 교육

 

<장루술 >

 

※ 변화된 신체상에 적응하도록 정서적 지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교육을 통해 직장생활, 사회관계 및 성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 전통적 회장루 간호

변이 피부를 자극하는 소화효소와 담즙산염을 포함하기 때문에 피부보호가 중요하다.

기구를 교활할 때 개구부 주위 피부를 순한 비누와 물로 깨끗이 닦아야 한다.

교환 횟수는 기구의 유형과 개구부의 구조에 따라 다르며 배설량이 적은 이른 아침에 교환하는 것이 쉽다.

가스와 변이 1/2~1/3 정도 차면 배액시키고 배설량을 측정한다.

교육내용에는 대상자가 걱정하는 내용에 대한 토론과 정서적지지, 피부간호, 기구관리, 주머니를 비우는 방법과 준비, 기구의 부착, 기구를 구입하는 장소, 냄새관리, 식이조절 등이 포함된다.

 

- 조절성회장루 간호

매일 3~4시간마다 카테터를 개구부에 삽입하여 주머니의 내용물을 배액한다. 개구부 주위의 피부는 매일 닦아주고 그 위를 흡수성 드레싱으로 덮어 피부통합성을 유지한다

 

3. 구불결장루술 간호 : 폐쇄된 방취주머니를 선호, 배변의 규칙성 유지 위해 세척할 수 있음

 

공통

(1) 장루세척 : 1시간정도 세척과정이 이루어지며 욕실에서 수행함

50~100mL 미지근한 물을 용기에 가득 채우고 용기를 개구부에서 45cm 높이에 매단다

관내공기를 제거하기 위해 물을 한번 통과시킨 후 깔때기 모양의 관을 세척용 관에 연결하고 윤활제를 바름, 카테터는 5~10cm 로 삽입하되 절대 힘을 주면 안됨

물은 6~8분에걸쳐 느리게 주입해서 경련과 팽만을 방지함

배액이 완전히 끝나면 개구부 주위의 피부를 비누와 물로 깨끗이 닦고 건조시킴

피부간호 후 장로주위에 피부보호제를 바름

주머니 입구의 테두리 크기는 장루보다 약 0.3cm 더 커야됨

(2) 냄새와 가스조절 관리 : 달걀, 치즈, 생선, 마늘 등 음식 피함, 공기삼키는 행위(흡연, 빨대사용, 껍씹기, 말하면서 식사하기 등은 피함

(3) 적절한 영양상태 유지 : 연속해서 3일정도 필요한 섭취량의 절반이상을 구강으로 섭취할 때까지 완전정맥영양을 유지

(4) 심리사회적지지 : 대변을 복부로 배출하는 개구부를 지니고 사는 것을 배워야함

(5) 합병증 관리 : 함몰, 장탈출, 탈장, 협착증, 출혈, 괴사 등의 증상 파악, 관리

 

<중심정맥영양법 Central parenteral nuterition>

중심정맥영양법으로 주로 사용되는 쇄골하정맥관(빗장밑정맥관)은 내강이 1~3개이다. 단기간 완전정맥영양법을 시행하는 경우에는 여러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내강 3개의 카테터를 권장한다.  원위부 내강 (16G)은 혈액이나 점성이 높은 용액을 주입할 때와 중간 내강은 완전정맥영양액을 주입할 때 사용하고 가까운 쪽 내강(18G)은 혈액과 약물을 주입하거나 혈액을 채취할 때 사용한다. 장기치료를 위해 Hickman catheter나 Groshong catheter와 같이 내장이 1~2개인 오른심방 카테터를 주로 수술실에서 삽입하여 사용한다. 피부 밑을 절개하여 빗장밑정맥(쇄골하정맥)으로 넣은 후 카테터의 먼 쪽을 오른심방 2~3cm 위쪽의 위대정맥에 삽입한다. 내강이 1개인 카테터를 사용할 때 카테터로 약물을 주입하면 영양액과 혼합되는데, 약물 중에 영양액과 혼합하는 것이 금기인 경우 정맥영양선(line)으로 주입하지 않고 말초정맥으로 주입한다. 혈액제제도 적혈구가 카테터의 내강에 부착되어 영양액의 흐름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주 정맥선으로 주입하지 않는다.

 

(1) 대상자 준비

카테터를 삽입할 때는 앙와위(바로누운자세)를 취하고 머리를 약간 낮게 하여 목과 어깨의 혈관을 확장해 쉽게 들어가게 하고 공기색전을 예방한다. 바늘 삽입 부위의 피부를 소독하고 관이 정확하게 제자리에 갈 수 있도록 카테터를 삽입하고 드레싱하는 동안 움직이지 않게 하고, 카테터를 삽입한 후에 움직일 수 있음을 설명한다.

 

(2) 카테터 삽입

"자주 사용하는 카테터 삼입부위는 쇄골정맥이며 내경정맥(속목정맥, mtermal jugular velin)도 사용한다. 가 에터는 감염될 가능성이 많으므로 4주마다 부위를 바꾼다.

"카테터를 삽입하는 동안 대상자는 발살바수기(alusalL.va maneuver)를 시행한다. 즉, 깊게 숨을 쉰 후 입을 '다물고 힘을 주면서 참는다. 이 발살바수기는 중심정맥압을 상승시켜 순환계로 공기가 들어갈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의사는 카테터가 빠지지 않도록 피부에 봉합한다.

합병증으로 카테터 삽입 시 흉막(가슴막) 천공으로 인한 기흥(공기가슴증)이나 혈흉(혈액가슴증), 상완신경총(위팔신경얼기) 손상, 공기색전증, 혈전증과 감염으로 인한 패혈증, 고혈당증, 그 밖에 전해질 불균형 등이 있다. 정맥영양액을 주입하기 전에 카테터 끝의 위치를 확인하고 기흥을 확인하기 위해 X-선을 찍는다. 카테터의 위치가 확인되면 카테터를 정맥주입세트에 연결하여 처방된 용액을 주입한다. 처음에는 시간당 50 mL로 주입하다가 점차 증가하거나 미리 정해진 속도(100~120mL/hr)로 주입한다. 생명을 위협하는 상황이 아니면 정맥영양액주입부위에서 철액을 채취하지 않는다. 카테터를 세척할 때 압력을 가하면 안 되고, 저항이 느껴지면 의사에게 보고한다. 혈전이 있는 경우 처방에 따라 혈전용해제 (urokir nase)를 투여한다. 내강을 뚫지 못한 경우에는 '막혔음'이라고 표시한다.

 

2.말초정맥영양법 Peripheral parenteral nutriton

큰 말초정맥에 카테터를 삽입하여 영양을 주입하는 방법으로, 단기간 영양보조가 필요할 때, 단백질과 칼로리 요구가 높지 않을 때, 중심정맥카테터 삽입 위험이 너무 높을 때, 구강영양 공급이 부적절해 정맥영양이 보조로 이용될 때 시행한다. 말초정맥영양에 이용되는 용액도 고장액(20% 정도)이지만 중심정맥영양 때보다는 높지 않다. 큰 말초정맥을 통해 안전하게 주입할 수 있으나 정맥염이 발생할 위험이 있다.

반응형
LIST